티벳어글자는 자음글자 서른 자와 모음글자 네 자로 구성 되어 있다.
| ཀ་ ཁ་ ག་ ང་། | ཅ་ ཆ་ ཇ་ ཉ། | ཏ་ ཐ་ ད་ ན། | པ་ ཕ་ བ་ མ། | ཙ་ ཚ་ ཛ་ ཝ། | ཞ་ ཟ་ འ་ ཡ། | ར་ ལ་ ཤ་ ས། | ཧ་ ཨ་ | 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까 카 가 아 | 쨔 챠 쟈 냐 | 따 타 다 나 | 빠 파 바 마 | 짜 차 자 와 | 샤 사 아 야 | 라 라 쌰 싸 | 하 아 | 
| ཨི་ ཨུ་ ཨེ་ ཨོ་ | 
|---|
| 이 우 에 오 | 
| 모음 | 모음글자 명칭 | 
|---|---|
| ི | གི་གུ་: 기꾸 | 
| ུ | ཞབས་ཀྱུ་: 셥뀨 | 
| ེ | འགྲེང་པོ་: 뎅보 | 
| ོ | ན་རོ་: 나로 | 
   [ ་ ] = ཚེག་[첵] : 음절 마침표
   티벳글자는 ཚེག་[첵]을 통해서 음절을 구분한다.  
[ ། ] = ཤེད་[쎼] : 문장 마침표 ཤེད་[쎼]는 문장마침표나 쉼표의 역할을 한다.
   [ །། ] = གཉིས་ཤེད་[니쎼] : 단락 마침표 
   གཉིས་ཤེད་[니쎼]는 단락마침표나 한 주제의 종결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.
   །།  །། 이처럼 གཉིས་ཤེད་[니쎼]를 두 번 사용하면 큰 단락 또는 장의 종결을 의미한다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