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정판 미리 보기: 3월 21, 2018, 11:27 오전 (#24) by nalanda

티벳어 고전문법 정리노트 2과 - 후접자

티벳어 고전문법 정리노트 2과 - 후접자 note-tcg-chapter-2

1.티벳어 음절의 구성

한글에서 자음과 모음의 낱자들이 상, 하, 좌, 우에서 결합하여 하나의 음절을 구성하듯이, 티벳글자들 또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음절을 구성한다.

예를들면, 한글의 1음절 '글'의 경우 : 초성 'ㄱ' 과 중성(모음) 'ㅡ'와 종성(흔히 받침글자) 'ㄹ'이 결합하여 '글'이라는 하나의 음절을 구성한다.

티벳글자의 1음절 བསྒྲུབས་[둡]의 경우 : 가 초성, ུ 가 중성(모음), 세 번째 위치의 가 종성역할을 하여 하나의 음절을 구성한다. 그리고 초성의 역할을 하는 글자를 기본자라고 한다.

그런데 한글과 달리 티벳글자 음절구성의 특징은 초성이나 중성, 종성의 역할을 하지 않으면서도 기본자의 앞이나 위 또는 아래, 맨마지막에 결합하는 추가적인 글자들(བ ས 등)이 있다는 점이다.

사실 한국어의 경우에도 '앉다'의 종성'ㄴㅈ' 중 'ㅈ' 처럼 종성 역할을 하지 않고 의미구분 역할을 하거나 '앉아라'처럼 활용형태의 발음변화를 암시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.

추가적으로 결합하는 티벳글자들도 이와 유사하게 기본자의 주변에서 결합하여 성조에 변화를 주거나 의미구분역할을 한다.

좀더 상세한 설명은 [쉽게배우는 현대티벳어 - 문자의구성] 편을 참조하기 바란다.

티벳어고전문법참고-문자의결합.png

2.후접자

후접자는 음절을 구성할때 기본자 뒤에 오는 글자를 말하며, 티벳어로는 རྗེས་འཇུག་[젠죽]이라고 한다.

후접자를 역할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세 분류가 있다.

  1. 종성(받침글자)의 역할만 하는 글자
  2. 중성(모음)의 역할만 하는 글자
  3. 중성과 종성의 역할을 모두 하는 글자

표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.

종성 중성 중성+종성
ག་ ང་ བ་ མ་ ར་ ད་ ས་ འ་ ན་ ལ་
[ᄀ] / [ᄋ] / [ᄇ] / [ᄆ] / [ᄅ] [ᅢ] / [ᅢ] / [아 : ] [ᅢ] + [ᄂ] / [ᅢ] + [ᄅ]

3.후접자 예제 표

종성(받침글자)역할 후접자

No. 5 예제 한국어
1 ག་ ག་པ། / ལུ / སྟ /གཟིག་ 손 / 양 / 호랑이 / 표범
2 ང་ རྐང་པ། / ཁང་པ། / ངང་པ། / འབྲོང་། 발 / 집 / 오리 / 마을 / 촌
3 བ་ ནུབ། / ཁབ། / ཐབ་ཚང་། / ལབ་པ། 서(쪽) / 바늘 / 부엌 / 말하다
4 མ་ མ་བུ། / ཟམ་པ། / ལམ། / དོམ། 살구 / 다리(교량) / 길 / 곰
5 ར་ ར་པ། / མར། / ཤར། / ནོར། 비 / 버터 / 동(쪽) / 보석

중성(모음)역할 후접자

No. 3 예제 한국어
6 ད་ ད་པ། / ནད་པ། / པད་མ། / བཤ་པ། 신념 / 환자 / 연꽃 / 설명
7 ས་ ས། / རས། / ནས། / ཡོས། 음식(문어) / 천, 헝겊 / ~로부터 / 말린곡식
8 འ་ བཀའ། / དགའ་བ། / མདའ། / གནའ། 말씀 / 기쁨 / 화살 / 고대

중성 + 종성역할 후접자

No. 2 예제 한국어
9 ན་ ན་པ། / ཉན་པ། / ལན། / གཉན། 나쁜 / 듣다 / 대답 / 야생양
10 ལ་ ལ། / ཞལ། / ཚལ། / དྲེལ། 양털 / 얼굴의 높임말 / 채소 / 노새